SKT 해킹 여부 확인 방법

 SKT 해킹 여부 확인 방법 



유심보호서비스 바로가기

 1. SKT 공식 고객센터 확인 

 - 114(무료 통화)로 전화하여 상담원에게 "개인정보 유출 및 해킹 의심" 사실을 알리고 점검 요청이 가능합니다. 

 - 상담원이 계정 이상 접속 기록, 휴대폰 인증 기록 등을 함께 확인해줍니다. 

 2. T world(티월드) 앱 또는 홈페이지 점검

 -T world 앱/웹 로그인 후 → [내 정보 관리] → [이상 접속 기록}메뉴를 확인합니다. - 최근 접속 이력이 평소와 다르거나 해외 IP 기록이 있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. 

 3. 문자나 전화 스팸 기록 확인 - 최근에 수상한 번호로부터 대량의 스팸 문자, 전화가 온다면 해킹 시도일 수 있습니다.

 - SKT에서는 [T가드](T guard) 앱을 통해 스팸 차단 및 이상 징후 탐지가 가능합니다.

 4. 본인 명의 가입 서비스 점검

 - '나이스(NICE) 본인확인 서비스나 'PASS 앱'을 통해 본인 명의로 가입된 휴대폰 회선, 인터넷 서비스, 기타 가입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- 모르는 서비스나 개통 이력이 있으면 즉시 해지를 요청하세요. 

 5. 비밀번호 및 인증 수단 변경 - 비밀번호를 자주 사용한 패턴(생일, 전화번호)으로 설정했었다면 즉시 변경하세요.

 - 가능하다면 2단계 인증(2FA) 설정을 추가로 활성화하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 

 추가로 주의할 점 - "당첨되었습니다", "요금 미납", "긴급 통지" 등의 문구로 온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.

  •  - 앱 설치 유도 문자나 카카오톡 링크도 조심하세요.
  •  - SKT를 사칭하는 스미싱 문자는 공식 번호(1800-6250)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  지금 바로 SKT 고객센터나 T world 앱을 통해 점검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. 또한, 해킹 의심이 든다면 빠르게 단말기 초기화 및 통신사 연계 서비스를 재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